![DTO, VO, DAO, Entity 간단한 개념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IcepY%2FbtqY2s6qVru%2FVCWCH9CnKo3k9LLeLskMdK%2Fimg.png)
기타
DTO, VO, DAO, Entity 간단한 개념
DTO (Data Transfer Object) : 각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 (ex. View Controller Service ) -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 데이터 객체 - getter/setter 메서드만 갖는다. (DB 데이터를 임의로 변경할 필요가없어 setter가 없고 이를 대신에 생성자(constructor)에서 값을 할당한다.) VO (Value Object) : DTO와 동일한 개념 + Read only 속성 - VO === 특정한 비즈니스 값 , DTO === Layer간 통신 용도 객체 DAO (Data Access Object) : 실제 DB에 접근하는 객체 (ex. Service -(DAO)-> DB ) - Service와 DB를 연결하는 역활. - SQL을 사용하여 D..